카테고리 없음

주식기초용어 기업공개(IPO)란 ?

HSCV 2022. 12. 18.

 

 


주식기초용어 기업공개(IPO)란?

 

IPO란? 신규 상장(Inintial Public Offering)으로 우리나라 말로는 기업공개라고 합니다.

 

주식이 증권시장에서 공식적으로 등록되고 거래되기 위해서는 상장(IPO)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상장 절차를 밟기 위해서는 외부 투자자들을 통한 첫 주식 공매가 진행됩니다. 

 

즉 기업이 자사의 주식과 경영 내역을 시장에 공개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식을 공개한다는 것은 기업의 주식을 증권시장에 공식적으로 등록하여 일반 투자자들이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기업의 주식이 증권시장에서 공식적으로 등록되고 거래되기 위해서는 상장(IPO)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렇다면 외부 투자자들이 기업의 주식을 공개적으로 매매할 수 있도록 상장하는 것이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PO의 장점

 

1. 대규모 자금 조달 가능

기업운용을 위해 자금조달이 필요할 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금융권 대출과 주주들의 유상증자를 받는 방법, IPO를 통해 주주들에게 대규모 자금 조달이 가능합니다.

 

2. 기업의 인지도 및 평판 상승

기업 정보 자료 공시를 통해 기업의 인지도가 높아지므로 홍보 효과도 있습니다.

 

3. 기업 신용 및 신뢰도 상승

 IPO는 엄격한 상장 심사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통과 후 기업의 신뢰도도 올라갈 뿐 아니라 신용도도 올라가기 때문에 저금리 차입이 가능합니다. 

 

 

 IPO의 단점

 

1. 경영권 분산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매매되므로 회사의 성장에 따른 자신의 지분율이 없는 경우 경영권 분산 위험이 있습니다.

 

즉 경영권이 넘어가 기업의 경영권을 빼앗길 수도 있습니다.

 

2. 비용 발생

IPO의 준비과정은 짧게는 6개월 ~ 길게는 1년 반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오랜 시간동안 IPO 준비 하는 과정 중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IPO의 절차

 

1. 대표주관사 선정

2. 상장예비심사

3. 증권신고서 제출 후 공모가 결정

4. 청약 진행

5. 상장

 

 


 

 

이렇게 주식 기초 용어인 기업공개(IPO)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에 대한 기초 용어를 공부하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