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은 먹고 살기 위해 돈을 벌고, 돈을 벌기 위해 먹고 살고 있습니다. 요즘 같은 물가상승에 때에는 그에 걸맞게 급여 협상과 연봉협상이 가장 중요합니다. 연봉 협상 진행 시 필수사항 정리해드릴테니 참고하여 좋은 연봉으로 협상하시기 바랍니다.
연봉협상 체크리스트
- 2023년 최저임금 계산하기
- 알아두면 좋은 연봉별 월 실수령액
- 신입 연봉계약 주의사항 : 연차수당
- 신입 연봉계약 주의사항 : 포괄임금제
- 재직자 연봉협상 잘하는 방법
- 이직자 연봉협상 잘하는 방법
2023년 최저임금 계산하기
2023년 최저임금 (세전기준)
- 시급 : 9,620원 (2022년 대비 5% 인상되었습니다.)
- 월급 : 2,010,580원 (주40시간 근로기준입니다.)
- 연봉 : 최소 2412만원 이상
주의사항
- 보너스, 상여금, 식대, 교통비, 복지비, 각종 수당 등 비과세 항목 제외 금액이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합니다.
(월급 비과세 식대 10만원 포함 시 월 세전 211만원 이상 지급 시 최저임금 위반 제외)
알아두면 좋은 2023년 연봉 별 월 실수령액
2~3천만원대
- 2600만원: 약 195만원
- 2800만원 : 약 208만원
- 3000만원 : 약 222만원
- 3200만원 : 약 235만원
- 3400만원 : 약 249만원
- 3600만원 : 약 262만원
- 3800만원 : 약 276만원
4~6천만원대
- 4000만원 : 약 289만원
- 4400만원 : 약 314만원
- 4800만원 : 약 339만원
- 5000만원 : 약 351만원
- 5400만원 : 약 377만원
- 5800만원 : 약 402만원
- 6000만원 : 약 414만원
2023년 1월부터 적용되는 4대보험 요율을 반영한 실수령액입니다.
부양가족 없는 20~30대 미혼 기혼, 사업장별 계산 방식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신입 연봉계약 주의사항 : 연차수당
우리에게 연봉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복지, 연차와 연차 수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휴가 규정>
- 1년 미만 근로자 : 1개월 만근 시 다음달 연차를 1개 씩 부여합니다.
- 2년 차 근로자 : 총 15개 부여, 3년 차부터 2년마다 연차 1개씩 추가됩니다.
- 근로자의 날, 법정 공휴일에 쉬는 것은 연차로 대체 불가능합니다.
주의사항
- 연차휴가는 입사 후 1년 단위, 또는 매년 1월 1일에 전 년도 사용분을 정산 후 미사용분을 1월 월급에 수당으로 지급합니다.
- 연차수당을 연봉에 포함시킨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은 불법이 아닙니다.
- 연차수당을 연봉에 포함시킬 경우, 모든 수당을 제외하고도 세전 월급 211만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신입 연봉계약 주의사항 : 포괄임금제
<포괄임금 포함 내용>
- 포괄임금제는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울때만 예외적으로 인정합니다.
- 퇴직금은 근로관계 종료를 요건으로 지급사유가 발생하며, 중간정산금지원칙이 있어 포괄임금에 포함시킬 수 없습니다.
초과근로 규정
- 초과 근로 시간은 1주에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근로계약서 상 연장근로 시간, 휴일근로 시간에 대한 가산수당을 포함한 급여가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어야 유효합니다.
- 연장 근무를 휴가로 주는 경우 1.5배 가산해서 부여해야 합니다.
재직자 연봉협상 잘하는 방법
현재 재직 중인 직장인의 경우 객관적인 데이터 없이 무리하게 연봉 인상 요청하는 것은 회사에 좋지 않은 이미지로 남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 내용을 잘 숙지하여 연봉협상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동종업계 평균 연봉 체크
- 회사에서 다른 직원들 대비 연봉이 높은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 나의 동종업계 동일연차 평균연봉을 확인합니다. (크레딧 잡, 잡코리아 확인)
나의 업무 능력 체크
- 회사 근무 시 업무진행사항, 회사성장 기여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 예를 들면 마케팅업의 경우 SNS 팔로워 증가율, 영업 및 계약 성사 건수를 데이터화 합니다.
해당 내용대로 정리가 되었다면, 동종업계 평균대비 연봉은 이 정도이며 내가 회사에서 발휘하고 있는 역량이 이 정도입니다. 수준에 맞춰서 급여를 주세요. 라고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도 객관적인 데이터를 증거로 평균 연봉을 요구했을 때 안좋게 보지 않을 것입니다.
이직자 연봉 협상 잘하는 방법
연봉 책정 시 내가 받는 월급을 전부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나에게 맞는 연봉을 어떻게 책정하면 좋을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연봉 인상 기준점 잡는 방법
- 복지포인트, 인센티브, 상여금, 야근수당 등 내가 받는 모든 수당을 체크합니다.
- 모든 수당에서 15% 내외로 올리는 것이 적절합니다.
- 전년도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 시 모든 상여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직 시 유의사항
- 현재 회사에서 승진 후 이직을 하거나, 직급을 높이는 조건으로 이직하는 것 중에서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 이직하는 회사의 동일 연차 직원보다 내 연봉이 더 낮다면 승진 후 인상된 연봉을 가지고 이직을 결정합니다.
자료참고 : 자취생으로 살아남기
댓글